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본 신앙생활과 AI의 관계 – 존 파이퍼 목사의 설교를 중심으로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본 신앙생활과 AI의 관계 – 존 파이퍼 목사의 설교 'AI로 쓴 기도문 괜찮을까?'최근 인공지능(AI)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신앙생활과 AI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복음주의 신학자 존 파이퍼(John Piper) 목사는 AI가 작성한 기도문을 설교 예화로 사용하며, AI 시대에 신앙의 본질을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 깊이 있게 다루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존 파이퍼 목사의 주장과 복음주의 관점에서 신앙생활과 AI의 관계를 살펴보고, 신앙인들이 AI를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해야 할지 제안합니다.https://youtu.be/-PBTnmkyA0Y?si=n55fgLaJfHDrwD1M 존 파이퍼 목사는 실제로 ChatGPT에게 “Don Carson의 신학과 영성으로 하나님의.. 2025. 5. 13.
한국교회 트렌드: 평신도 사역과 멀티제너레이션 목회, 어떻게 실천할까? 📖한국교회 트렌드: 평신도 사역과 멀티제너레이션 목회, 어떻게 실천할까?2025년 한국교회 트렌드와 실제 적용 방안, 성공 사례까지 한눈에!목차평신도 사역, 왜 지금 중요한가?평신도 사역의 실제 사례멀티제너레이션 목회란 무엇인가?세대 통합 목회의 실제 적용 방법성공적인 교회 사례와 배울 점앞으로의 방향과 제언결론1. 평신도 사역, 왜 지금 중요한가?최근 국민일보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한국교회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목회자의 78.9%가 “평신도가 교역자 역할을 대체해도 괜찮다”고 답했습니다. 성도들 역시 교회 내 다양한 사역에 직접 참여하길 원한다는 응답이 늘고 있습니다.그 이유는 무엇일까요?목회자 1인 중심의 한계: 교회가 커질수록 목회자 혼자 모든 사역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2025. 5. 9.
2025 한국교회 미래를 여는 5가지 핵심 키워드: 우리 교회의 미래 준비는 지금부터 2025 한국교회 미래를 여는 5가지 핵심 키워드: 우리 교회의 미래 준비는 지금부터현대 한국교회는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 속에서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발표한 '2025 한국교회 미래 키워드'는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교회가 지금 준비해야 할 5가지 핵심 키워드를 상세히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 교회의 모습을 그려봅니다.1. 멘탈 케어 커뮤니티: 마음의 치유가 필요한 시대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교회 내 성도들도 예외가 아니며, 불안, 우울, 번아웃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제 교회는 영적 돌봄을 넘어 정신 건강까지 케어하는 공동체로 거듭나야 합니다.멘탈 케어 커뮤.. 2025. 5. 1.
[기독교변증] 무신론자의 회심: 안토니 플루 / 지적설계(Intelligent Design) 유신론을 향한 여정의 시작 📌무신론 철학자 안토니 플루, 유신론자가 되다- 지적설계론이 이끈 회심안토니 플루(Antony Flew)는 20세기 대표적인 무신론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었지만, 생명 기원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통해 결국 유신론자로 전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변화의 과정과 핵심이 된 지적설계론(Intelligent Design)에 대해 살펴봅니다.1. 철저한 무신론자였던 안토니 플루1950년대에 발표한 「Theology and Falsification」에서 플루는 신의 존재에 대한 논의는 검증 불가능하므로 철학적으로 무의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글은 무신론 진영에서 필독서처럼 여겨졌고, 그는 오랜 세월 동안 일관된 무신론자로 활동했습니다.2. 유신론으로 향하게 된 결정적 이유플루는 생명체의 기원, 특히 DNA에 .. 2025. 4. 25.
『전도중심교회로 바꾸라』 요약 정리 – 김상현 목사의 전도 중심 교회 개혁 전략 📣 『전도중심교회로 바꾸라』 요약 정리 – 김상현 목사의 전도 중심 교회 개혁 전략전도 중심의 교회로 변화되기를 원하십니까?『전도중심교회로 바꾸라』는 김상현 목사가 제시하는 전도형 교회 전환 전략을 담은 실천적 안내서입니다.이 글에서는 이 책의 핵심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전도 사역에 관심 있는 목회자와 교회 리더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책 기본 정보도서명: 전도중심교회로 바꾸라저자: 김상현출판사: 두란노출간일: 2013년 3월 11일페이지 수: 240쪽카테고리: 전도, 교회 성장, 목회 전략📌 1부. 전도 중심 교회를 위한 전략1. 교회의 가치를 전도로 재정립하라교회의 존재 목적은 영혼 구원과 제자 삼는 일입니다.전도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교회 전체가 전도를 중심 가치로 삼을 때,.. 2025. 4. 25.
[기독교변증] 예수에 관한 기록, 역사적 신뢰성이 있는가? 예수에 관한 기록, 역사적 신뢰성이 있는가? 예수의 생애를 담고 있는 성서의 역사적 신뢰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역사적 신뢰성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을까요? 을 뒷받침하는 네 가지의 기준으로 고대사와 예수의 역사 기록을 비교해 보겠습니다.예수예수님은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자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세상에 온 구원자로 믿습니다. 이스라엘 땅에 살았던 역사적 인물이며, 그의 삶과 가르침은 신약성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구전 전승 기간은 쉽게 말해 어떤 인물의 이야기나 가르침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글로 쓰이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마치 옛날이야기가 할머니, 할아버지에서 손주에게 전해지는 것과 같은 방.. 2025. 4. 24.
예수님의 부활을 기록한 성경 구절 정리 📢예수님의 부활을 기록한 성경 구절 정리 (개역개정 기준)예수님의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입니다. 예수님께서 죽음을 이기시고 다시 살아나셨다는 복음은, 단지 역사적 사건이 아닌 우리의 삶과 신앙, 그리고 영원한 생명의 약속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역개정 성경을 기준으로, 예수님의 부활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암시하고 있는 구절들을 정리했습니다.목차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부활사도행전 속 부활의 증언서신서에 기록된 부활의 의미예수님의 부활을 암시하는 구절1.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부활📖마태복음마태복음 28:5-6“...그가 여기 계시지 않고 그가 말씀하시던 대로 살아나셨느니라...”마태복음 28:1-10천사들이 무덤을 찾은 여인들에게 예수님의 부활을 선포하고, 부활하신 예수께서 그들에.. 2025. 4. 24.
[생명의 삶] 민수기14:1~10 묵상 및 새벽예배 설교 민수기 14장은 열두 정탐꾼이 보고를 한 후에 공포에 휩싸인 이스라엘 백성들의 원망으로 시작합니다.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한 열 명의 정탐꾼의 불신앙적인 보고에 선동된 온 회중이 하나님을 원망합니다. 먼저 열 명의 정탐꾼이 어떻게 보고했는지를 보겠습니다. (민13:32~33)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그 정탐한 땅을 악평하여 이르되 우리가 두루 다니며 정탐한 땅은 그 거주민을 삼키는 땅이요 거기서 본 모든 백성은 신장이 장대한 자들이며 / 거기서 네피림 후손인 아낙 자손의 거인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 그들이 보기에도 그와 같았을 것이니라 열 명의 정탐꾼이 가나안 땅을 악평했습니다. ‘악평’의 원어의 뜻을 찾아보니까 사실을 의도적으로 왜곡시켜 꾸며 내는 중상 모략을 말합니다. 가나안.. 2025. 4. 23.
[레위기 장별 주제 정리] 이해하기 쉬운 성경요약 & 구약제사의 종류와 방법 [레위기 요약] 장별 주제 정리와 제사 종류 도표로 한눈에 정리!레위기(Leviticus)는 성경 전체에서 하나님의 거룩함과 백성의 거룩한 삶을 강조하는 책입니다. 특히 예배, 제사, 제사장, 정결법, 절기 등을 다루며, 오늘날 우리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깊은 영적 교훈을 줍니다.이 글에서는 레위기 전체 내용을 장별로 요약하고, 마지막에는 제사의 종류와 방법을 표로 정리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7장: 제사의 규례레위기 1장: 번제 – 하나님께 온전히 드리는 헌신의 제사레위기 2장: 소제 – 곡물로 드리는 감사와 정성의 제사레위기 3장: 화목제 –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교제의 제사레위기 4장: 속죄제 – 죄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제사레위기 5장: 속건제 – 잘못에 대한 .. 2025. 4. 23.